주식 시장 수익률을 떠올리면 예적금을 하는 게 손해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페이스북(메타플랫폼)에 투자했다면 하루 만에 20%에 달하는 수익을 거둘 수도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안전자산인 현금과 예적금의 힘을 간과해선 안 됩니다. 현금을 비축해 두어야 갑작스러운 시장 변화나 개인적으로 긴급한 일이 발생했을 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예금과 적금의 차이와 어떤 저축 형태가 더 유리할지 알아보겠습니다. 마이너스 통장(마통) 이자와 간단히 비교해 볼게요.
예금과 적금
예금은 처음에 큰 금액을 한 번에 납입하는 방식의 저축으로, 주로 목돈을 굴릴 목적으로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적금은 여러 번에 걸쳐 돈을 꼬박꼬박 납입하는 방식의 저축으로, 주로 목돈을 만들 목적으로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예적금은 모두 만기 이전에 해지하면 약정 금리를 제대로 받지 못합니다. 은행 상품에 따라 예적금 담보 대출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는데 대출과 해지 중에 무엇이 이득일지는 가입 기간과 금액 등을 잘 따져봐야 합니다.
예적금 금리의 차이
일반적으로 적금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높습니다. 금리만 따지면 적금이 유리해 보이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장 수중에 120만원이 있다면 매월 10만원씩 정기적금을 드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1년짜리 정기예금을 드는 게 좋을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예적금 금리와 총납입금액이 같을 경우 적금보다 예금이 더 유리합니다. 왜 그럴까요?
예금은 첫 달에 납입한 120만원 전체에 대해 12개월간의 이자를 받습니다. 반면에 적금은 매월 납입하는 금액마다 이자가 적용되는 기간이 달라지므로 전체 이자로 따지면 예금보다 이자가 적게 붙습니다.
적금의 경우, 첫 달에 불입한 10만원은 12개월간의 이자가 붙지만, 두 번째 달에 납입한 10만원은 11개월간의 이자가 붙는 식입니다. 그러니 예금은 120만원 전체에 대해 12개월 이자가 적용되지만, 적금은 겨우 10만원만 12개월 이자가 적용되는 셈이라 예금보다 이자가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100만원 이상의 종잣돈이 있다면 예금을, 소액을 조금씩 모아야 한다면 적금을 드는 것이 좋습니다.
예적금 원리금 계산
만기에 받게 될 원리금(원금과 이자)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예적금 계산기를 사용해 보세요. 유리한 예적금 상품을 가려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저축은행 중앙회에서 제공하는 금융계산기 ↓ ↓ ↓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마통 금리 vs 적금 금리
앞서 설명했듯 적금 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은 예금과 다릅니다. 그래서 적금 만기 때 생각보다 적은 이자를 받고 실망하는 분이 많습니다. 적금 이자를 예금처럼 계산한 탓이죠.
마찬가지로 마이너스 통장(마통) 대출 금리를 예적금 이자와 같다고 착각하는 실수를 저지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통 금리가 적금 금리보다 낮으니까 적금을 깨지 않고 대출을 받는 편이 낫다고 판단하는 겁니다. 여기에도 함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자를 계산할 때 예적금은 단리로, 마통은 복리로 계산됩니다.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고, 복리는 원금에 발생한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마통은 하루 단위로 이자가 붙습니다. 어제의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 다시 오늘의 이자가 계산됩니다. 이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갚아야 할 이자도 늘어나니 마통 이자 부담이 커집니다. 반면 시중 은행에서 제공하는 예적금은 대부분 단리라 마통보다 불리하죠.
그러므로 단순히 적금 금리가 높다고 해서 적금을 깨지 않고 마통을 쓰는 게 이득이라고 판단해선 안 됩니다.
저는 재테크의 기본이 투자가 아닌 저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학생 또는 사회초년생이라면 소비를 미루고 꾸준히 소액을 모아 투자에 나설 종잣돈을 만들어 보세요. 예적금은 예산을 짜고 자금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어떤 적금 상품에 가입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아래 포스팅 하단에서 고금리 추천 상품을 확인해 보세요. ↓ ↓ ↓
예금자보호, 어디까지 가능할까? (feat. 상상인저축은행 7% 적금)
초저금리 시대, 한 푼이라도 더 얹어 주는 저축은행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저도 재테크에 적극 활용하고 있고, 마침 오늘이 적금 만기일이라서 기분이 좋네요! 하지만 저축은행 상품에 가입
iroone.tistory.com
예금 vs 적금, 종잣돈 마련에는 어떤 게 더 유리할까? : 포스타입 포스트
당장 써먹는 재테크 101: 실생활에 유용한 재테크 지식 이번 포스팅은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짚어보고 목돈 만들기에 가장 적합한 상품을 알아본다. 아무리 주식 시장이 호황일지라도 안전자산
money101.postype.com
'재테크 실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종목 선정 기준 및 투자 원칙 : 마이너스 늪에서 탈출 성공 (3) | 2024.02.28 |
---|---|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 청년도약계좌 연계, 혜택, 중도해지 및 대안 (1) | 2024.02.17 |
금융결제원 어카운트인포 : 카드/계좌통합관리, 보이스피싱 대응까지 (1) | 2024.02.05 |
재테크의 의미부터 종류까지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3) | 2024.01.22 |
프리랜서 적금: 프리랜서노동공제회 청년목돈마련 지원적금 신청 후기 (3) | 2024.01.21 |